세계 1차 대전 이후, 전쟁에 패배한 독일경제는 상당히 힘들었다. 천문학적인 전쟁배상금과 함께 영토까지 일부 빼앗긴 독일은 먹을 것조차 구하기 힘든 그런 시절을 보냈다. 이때 등장한 것이 아돌프 히틀러다.
히틀러는 더 이상 전쟁배상금을 내지 않겠다는 선언과 함께 배고픈 독일 국민의 증오를 유대인에게 돌렸다. 그리고 자국민의 우수성을 강조하며 자존감을 살렸지만, 그 결과는 끔찍한 학살로 이어지며, 오늘날까지도 유대인 집단학살에 대한 여파가 이어지고 있다.
또한 일본은 1923년 관동대지진 참상에 대한 화풀이를 조선인에게 돌려 대학살이 자행됐다. 이후 일본에 의한 난징 대학살 사건도 있었다. 원인은 다르지만, 참상의 배후에는 근거 없는 혐오와 배척이 자리 잡고 있다. 근대에 들러서는 세르비아에서 일어난 인종청소와 이스라엘에 의한 제노사이드가 있었다. 이런 일련의 참상을 주도한 세력은 모두 집권에 성공했던 극우파들이다.
<전경만의 와이즈 칼럼>
최근 한국에서도 극우파에 의한 이런 시도가 종종 보고되고 있다. 사회와 정치가 혼란한 틈을 비집고 들어서고 있는 한국의 극우파는 중국인을 혐오의 대상으로 보고 있다. 사실상 중국인의 한국 정치참여는 매우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한국인의 중국인 혐오는 선을 넘고 있다는 지적이다.
윤석열 대통령의 난잡하고 불법적 계엄은 당연히 법의 심판을 받아야 하고 처벌돼야 당연하다. 그러나 극우 세력들은 윤석열 대통령이 계엄을 할 수밖에 없던 이유 중에 하나로 중국인의 선거 개입설을 퍼뜨리며 급기야 중국대사관 앞으로 몰려가 시위까지 하며 근거 없는 혐오를 양산하고 있다.
극우와 파시스트를 추앙하는 이런 일련의 행동들이 옳은 것인가에 대한 반성 혹은 타당성 등은 전혀 고려의 대상이 아닌 듯 행동하며 “그러면 안 된다”라는 일반 시민들의 일침을 들을 생각조차 하지 않고 있다. 타인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지 않는 행위는 정치도 아니며 보수도 아니다. 그저 자신들의 잘못을 남에게 돌려 화풀이의 대상이나 욕설의 대상만 찾을 뿐인 추악한 행위다.
한 시간이라도 곰곰이 생각해보면 우리나라는 결코 다른 나라 사람들의 행위에 흔들릴 정도의 나약한 나라가 아니라는 사실을 알 수가 있다. 우리나라는 한강의 기적에서부터 통신혁명 그리고 문화산업과 방위산업 등이 세계 유수의 위치에 있는 나라다. 그럼에도 우리나라가 중국 자본에 흔들려 정치에까지 개입했다는 지나치게 터무니없는 말들이 돌아다니는 것은 한국인의 자부심과 얼굴에 먹칠하는 것과 같다.
정치가 됐든, 문화가 됐든 혐오는 사회를 망가뜨리는 주범이다. 윤석열 대통령을 지지하는 것이야 그들 나름의 생각이 있기 때문이라고 치부할지라도 여기에 남 탓을 하거나 혐오를 추가하면 안 된다. 또한 우리나라의 정치 현상에 미국 성조기를 들고나오는 일도 자제해야 한다. 마치 청나라 초기에 명나라와의 의리를 지켜야 한다는 조선 백성들처럼 명나라 깃발 대신 미국기를 들고나오는 부끄러운 행위도 중단되어야 한다. 여기는 대한민국이며 대한민국은 자주독립국이다. 그리고 민주공화국이다. 그리고 권력은 대통령의 계엄이 아닌 국민의 뜻이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