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떨어져도 튀는 공처럼/ 정현종



                                 그래 살아봐야지
                                 너도 나도 공이 되어
                                 떨어져도 튀는 공처럼

                                살아봐야지
                                쓰러지는 법이 없는 둥근
                                공처럼, 탄력의 나라의
                                왕자처럼

                               가볍게 떠올라야지
                               곧 움직일 준비되어 있는 꼴
                               둥근 공이 되어

                              옳지 최선의 꼴
                              지금의 네 모습처럼
                              떨어져도 튀어 오르는 공
                              쓰러지는 법이 없는 공이 되어

정현종(1939~)
중고교 시절부터 문학과 음악, 발레, 철학에 심취했다. 1959년 연세대학교 철학과에 입학했으며, 대학신문인 <연세춘추>에 발표한 시가 국문과 박두진 교수의 눈에 띄어 「독무(獨舞)」와 「여름과 겨울의 노래」로 현대문학에서 3회 추천, 등단했다. 1966년에는 황동규, 박이도, 김화영 등과 함께 동인지 <사계>를 결성하여 활동했다. 1982년부터 연세대학교 국문과 교수로 재직, 2001년 제 1회 미당문학상, 대표작: 견딜 수 없네, 광휘의 속삭임, 섬, 날아라 버스야 등

시 읽기/ 윤 형 돈

시인의 시적 사유의 토대가 되는 것은 ‘둥근 것’에 대한 인식, 즉 둥글게 살기를 열망하는 것이다. 비록 꽃 피우지 못하는 무화과의 눈물이 있을지언정 최선의 노력과 의지로 열매 맺어야 행복한 삶이다. 보다 많은 실패와 고뇌의 시간을 비껴갈 수는 없겠지만 바닥에 ‘떨어져도 튀는 공이 되어’ 탄력적으로 사람답게 살아야 한다. 공놀이 하는 달마 혹은 탄력의 왕자처럼 둥글게 살면 중심이 있는 ‘공‘은 떨어져도 탄성으로 튀어 오르게 마련이다.

사노라면 ‘꼴’이 말이 아니게 피폐하고 나락으로 떨어져 신음하고 괴로워하는 날이 다반사로 펼쳐진다. 그러나 넘어져도 일어서고 고꾸라져도 굴하거나 좌절하지 않고 버텨내고 있는 바로 지금 너의 ‘둥근’ 모습이 ‘최선의 꼴’이다 어찌 보면 상상력이란 것도 ‘둥근 것’에 대한 인식을 토대로 생성된 언어들이다. 둥근 것은 오래 오래 이어지는 끊임없는 자연의 순환이요, 우주적인 생명력을 낳는 모태(母胎)인 셈이다. 시인의 상상력은 자신의 세계를 단절이 아니라 연속으로, 선이 아니라 둥근 원의 개념으로 파악하여 결코 ‘쓰러지는 법이 없는’ 매우 긍정적인 ‘마이웨이’를 부르고 있다

우리가 수시로 축구나 야구 중계에 미쳐 넋을 놓고 있는 경우도 사실은 어디로 튈지 모르는 ‘공’의 불확실한 행방의 신비에 있지 않을까 하긴 산업시대의 허구와 병리를 적나라하게 폭로한 역사적인 사건도 왜소한 몸집의 ‘난장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이지 않았던가!
그래, 산다는 건 그것만으로도 의미는 충분한 거지 지금 눈물이 흐르고 있다는 것은 나는 아직 살아있다는 것, 생각한다는 것. 젊은 소망으로 애무하는 이 경이로운 절대 생명의 의무.


포토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