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에서 보편적 복지라는 말이 널리 사용된 것은 김상곤 교육부장관 후보자가 경기도교육감으로 재직하면서부터다. 김 후보자가 경기도교육감에 당선되면서 대한민국 교육의 틀은 큰 변화를 겪게 된다. 김 후보자가 교육감이 되기 이전에 유행하던 “한 사람의 영재가 만 명을 먹여 살린다”는 선별적 영재교육의 틀은 점차 사라지고 “누구나 대한민국 국민이면 보편적 교육을 받을 권리가 있다”는 ‘더불어 사는 민주시민 육성’으로 교육의 방향이 전환을 한다. 그리고 보편적 복지의 일환으로 무상급식이 시작됐다.
당시 자유한국당의 전신이었던 한나라당의 저항은 격렬했다. 김 후보자를 좌파, 이념의 수장이라고까지 몰아붙이며 무상급식에 대한 거부감을 드러냈다. 그리고 이어 치러진 2010년 지방선거에서 보편적 복지를 거부한 한나라당은 국민들에 의해 심판받아 대 참패를 당한다. 이후 보편적 복지 열풍은 대선에 까지 이어지며 박근혜 전 대통령도 보편적 복지 대열에 동참해 누리과정을 공약했다.
김 후보자가 보편적 복지를 학교시스템에 도입하면서 여기에 추가해 도입한 것이 혁신학교다, 학교의 주인은 선생과 학생들이며 교실의 주체는 선생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학생들은 원하는 수업을 배우기 위해 선생 즉 반을 찾아가 배우는 시스템의 도입이었다. 혁신학교는 성공적이었고 경기도 31개 시`군 대부분은 혁신학교 지구에 포함되려고 노력했었다. 경기 오산시도 이 중에 하나다.
오산시는 민선5기 곽상욱 시장체제에 들어가면서 많은 변화가 있었다. 그중에서도 교육에 대한 변화는 대단히 컸었다. 인구 20만의 작은 소도시 오산은 수원의 한 구 만큼이나 작은 도시이기 때문에 주변 시군에 비해 도시경쟁력이 많이 떨지는 형편이었다. 곽상욱 오산시장은 시장 당선이후 도시의 슬로건 자체를 ‘교육도시 오산’으로 바꿨다. 그것이 2012년의 일이다. 도시의 슬로건 까지 바꿔가며 교육에 투자하겠다는 시정방침을 세우고 여러 방면으로 노력했다. 덕분에 오산의 도시 경쟁력이 살아 났다.
이 과정에서 교육 전문가는 당연히 필요했다. 교육도시로 가기위한 시행착오를 줄이기 위해서는 보다 전문적인 인력이 필요했다. 그런 이유로 곽 시장은 2014년과 2015년에 걸쳐 김상곤 교육부장관 후보자와 손발을 맞춰 무상급식과 혁신교육을 이루어냈던 인사들을 오산시로 영입하게 된다.
그리고 오산시는 민선6기 들어 다시 한 번 교육으로 거듭난다. 도시 자체의 규모가 작고 인구수도 작다는 점을 충분히 활용해 도시 전체를 하나의 캠퍼스로 규정해 ‘오산시민대학’이라는 개념을 만들어 냈다. 오산시민이면 누구나 오산시 안에서 남녀노소 구분 없이 원하는 장소에서 맘껏 배울 수 있게 하겠다는 개념이다. 이런 개념들은 곽상욱 오산시장의 교육에 대한 철학과 교육전문가들로부터 만들어진 것이다.
이런 일련의 과정을 보면 곽상욱 오산 시장이 경기도교육청에서 근무했던 인재들을 영입한 것이지 특혜를 준 것이 결코 아니다. 그럼에도 일부 자유한국당 국회의원들 그것도 경기도 오산시와는 거리가 상당히 먼 대구 지역의 국회의원이 특혜라고 지적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대구와 오산 간 교육차이가 나는 것처럼 지역별 현안의 차이가 크다는 점을 알지 못한 것에서 오는 우격다짐이다. 한 마디 더 첨언하자면 곽상욱 오산시장이 영입한 사람들은 곽 시장과 동문도 아니며 선거 캠프에 있었던 사람들도 아니다. 단지 교육 전문가들일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