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땅끝 마을 해남 인송문학촌 "토문재"는 2023년 입주작가 63명을 선정해 작가들이 왕성한 작품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했다. 인송문학촌 "토문재"는 박병두 시나리오 작가가 고향 해남으로 귀향 해 일천여평에 전통 한옥을 준공 한 후, 작가들이 의식주와 경제적인 문제에서 벗어나 창작에만 몰입 할 수 있는 공간이 절실히 필요함을 고민한 결과 지난 2022년 "토문재"를 개방했다. ▲ 해남 인송문학촌 토문재 전경 "토문재"는 전통 한옥으로 집필실 7실과 세미나실 겸 회의실, 북카페등 휴게실과 "인송정"(육각형정자)등 작가들이 편히 쉴 수 있도록 휴게 공간도 마련해 작가들의 자유로운 창작 활동을 돕기로 했다. 4천여권의 각종 문학도서를 비치 해둔 도서관과 24시간 불이 켜져 있는 북카페 휴게실은 일반 주민들도 차를 마시고 영화와 음악을 들을 수 있도록 문턱을 낮췄다. 2023년도 선정된 입주작가는 시(시조), 소설, 수필, 평론, 번역, 희곡, 아동 및 청소년, 시나리오, 음악까지 136명이 응모해 63명을 선정했다. 심사는 나기철, 문태준, 송소영, 임철우 소설가가 맡았으며, 입주작가들의 작품실적, 집필 계획의 적합성, 기대효과 등을 평가하고, 심사 기준은 등
▲ 담양군 봉산면 카페 옥담 야경 담양 옥담이 6일 오후 4시 기준 광주·전남 네이버 방문자 리뷰 수 1위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네이버 방문자 리뷰는 실제 매장에 방문하고, 구매한 영수증이 있어야만 작성할 수 있다. 실제 방문객이 작성된 것이라, 신뢰도가 높고 소비자 선택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실제 방문객 숫자가 많다는 것은 그만큼 핫플레이스이며, 검증된 곳이자 가볼만한 곳이라고 옥담은 설명했다. 옥담은 담양군 봉산면에 자리한 카페로, 식음료 및 공간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옥담의 한자어는 ‘玉(구슬 옥)’, ‘潭(못 담)’으로 아름다운 연못, 훌륭한 연못을 뜻한다. 이름과 어울리게 옥담은 길이 70m의 담수가 본관을 마주해 자리 잡고 있다. 이곳은 인생 사진 명소로 전국 관광객 및 여행객들 사이에서 주목받고 있다. 옥담의 연못은 가로 70m, 세로 12m 크기로 연못을 가로지르는 십자형 통로에서 주로 사진 촬영이 이뤄진다. 본관 배경, 연못 반사 배경, 거목 은목서 배경 등 다양한 연출은 물론 옥담 간판·사인물을 배경으로 한 인증 사진도 인기를 끌고 있다. 사진 외에도 본관에서 통창을 통해 바라보는 연못은 물멍(물을 바라보며 힐링하는 신조어) 자리로
▲ 국립등대박물관의 항로표지 전문해설사가 단체관람객에게 항로표지의 역사와 운용방법, 원리 등을 설명하고 있다 우리나라 최동단 호미곶에는 1908년부터 호미곶등대가 바다를 지키고 있다. 그리고 그 옆에는 지난해 확대 건립을 마치고 복합문화공간이자 국내 유일의 항로표지 전문 박물관으로 거듭난 한국항로표지기술원의 국립등대박물관(관장 오병택)이 위치해 있다. 해양수산부 산하 국립등대박물관은 3월부터 등대해양문화 가치 확산 및 시민과의 소통 확대를 위해 신규 프로그램을 운용한다고 2일 밝혔다. 이번에 새로 도입되는 프로그램은 ‘전시 해설’과 ‘영유아 체험교육’ 등 두 가지다. 먼저 전시 해설은 항로표지에 대한 관람객들의 이해를 돕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등대와 부표로 대변되는 항로표지는 바다의 교통 신호등과 같은 역할을 하는 표지 시설물을 말하는데, 전문해설사가 그 역사는 물론 어떻게 선박의 안전한 운항을 돕는지 쉽고 재미있게 알려준다. 주요 내용으로는 1908년부터 시작된 호미곶등대와 1982년 개관한 등대박물관의 역사와 의의, 항해술의 발달, 세계 7대 불가사의 중 하나인 파로스 등대(BC 280∼250년 무렵 세워진 세계 최초의 등대), 삼국사기에 기록된 항로표지